온디바이스(On-Device) AI 반도체 IP(Intellectual Property) 전문 기업으로, AI 프로세서 설계 및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회사는 특히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 IP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인터페이스 IP 등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1. 기업 초간단 분석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AI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온디바이스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AI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기업으로,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술 개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기업 기본 정보 | 내용 |
---|---|
회사명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
코스닥 코드 | 394280 |
설립일 | 2018년 |
주요 사업 | AI 반도체 설계, NPU IP 개발 |
현재 주가(2025.03.20) | 14,350원 |
시가총액 | 약 5,740억원 |
52주 최고/최저 | 17,300원 / 9,450원 |
2. 현재 주가 차트 분석


최근 오픈엣지테크놀로지의 주가는 14,350원으로, 과거 6개월 동안의 차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납니다:
ㆍ주가 추이 : 2024년 12월 신제품 발표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5년 1월 중순 최고점 도달 후 현재는 조정 국면
ㆍ기술적 지표 : 20일 이동평균선 바로 위에 위치하며, 중장기 추세는 여전히 상승세 유지
ㆍ거래량 : 2025년 1월 실적 발표와 최근 MWC 2025 참가 시점에 거래량 급증
ㆍ지지선/저항선 : 12,000원 선에서 강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16,500원이 주요 저항선으로 작용 중
3. 기업 상세 분석
기업 개요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2018년 설립된 AI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엣지 디바이스를 위한 초저전력 고성능 NPU(Neural Processing Unit) IP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IoT 기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AI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제품 및 기술
ㆍABEE(Advanced Bee) NPU IP: 저전력 고효율 NPU 아키텍처
ㆍHIVE(High-performance Intelligent Vision Engine): 영상처리 특화 AI 엔진
ㆍSWARM: 엣지 디바이스용 AI 소프트웨어 스택
재무 현황 (2024년 기준)
항목 | 금액 (억원) | 전년 대비 |
---|---|---|
매출액 | 312 | +67.2% |
영업이익 | 48 | 흑자전환 |
당기순이익 | 52 | 흑자전환 |
R&D 투자 | 93 | +41.5% |
부채비율 | 28.5% | -5.7%p |
주요 고객사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자동차 전장 부품 업체, 가전 제조사 등과 협력 중이며, 아시아 시장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미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4. 투자 포인트
1)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폭발적 성장
세계적으로 AI 기술이 모바일 및 엣지 디바이스로 확산되면서,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연산을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AI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시장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5.7%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2) 독자적인 기술력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초저전력 고효율 NPU 아키텍처를 독자 개발하여 전력 효율성 면에서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출시한 ABEE NPU IP는 와트당 AI 연산처리량이 경쟁사 대비 약 1.5배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확장되는 고객 네트워크
2024년 하반기부터 글로벌 톱티어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협력을 시작하였으며, 2025년부터는 자동차 전장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고객 다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4)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
한국 정부의 AI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R&D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받고 있으며, 최근 발표된 ‘시스템 반도체 2030’ 계획의 핵심 수혜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5. 증권사 리포트 목표주가
증권사 | 목표주가 | 투자의견 | 발행일 |
---|---|---|---|
한국투자증권 | 18,500원 | 매수 | 2025.03.15 |
신한증권 | 17,800원 | 매수 | 2025.03.12 |
미래에셋증권 | 19,000원 | 매수 | 2025.03.10 |
KB증권 | 16,500원 | 중립 | 2025.03.08 |
메리츠증권 | 18,000원 | 매수 | 2025.03.05 |
평균 | 17,960원 | 매수 | – |
주요 증권사들은 대체로 오픈엣지테크놀로지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 대비 평균 25.2%의 상승 여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6. 한줄평 및 정리표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성장과 함께 날개를 펼치는 국내 AI 반도체 설계 강자”
구분 | 내용 |
---|---|
강점 | – 독자적인 초저전력 NPU 기술 – 글로벌 고객사 확보 – 정부 지원 정책 수혜 –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성 |
약점 | – 대형 팹리스 대비 자본력 부족 – 브랜드 인지도 제한적 – 해외 시장 점유율 아직 낮음 |
기회 | – 온디바이스 AI 시장 급성장 – 5G/6G 확산에 따른 엣지컴퓨팅 수요 증가 –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신규 시장 진출 |
위협 | – 글로벌 대기업들의 시장 진입 – 기술 격차 축소 가능성 – 반도체 산업 사이클의 변동성 |
투자매력도 | ★★★★☆ (5점 만점에 4점) |
리스크 수준 | ★★★☆☆ (5점 만점에 3점) |
7. 투자결론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성장과 함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입니다.
독자적인 NPU 기술력과 확장되는 고객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단기 전망 (3~6개월)
현재 14,350원인 주가는 최근 실적 개선과 신규 계약 소식에 힘입어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반도체 업종 전반의 변동성과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16,000원~17,000원 범위 내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장기 전망 (1~3년)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성장과 함께 오픈엣지테크놀로지의 매출 및 이익은 향후 3년간 연평균 4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자동차 전장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글로벌 고객사가 확대될 경우, 증권사들의 평균 목표주가인 18,000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습니다.
투자 전략
ㆍ적극 매수 구간 : 12,000원~13,000원
ㆍ매수 관망 구간 : 13,000원~15,000원
ㆍ부분 차익실현 구간 : 17,000원 이상
투자자들은 반도체 업종의 변동성을 감안하여 분할 매수 전략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장기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8. 참고사이트
ㆍ오픈엣지테크놀로지 공식 홈페이지 : www.openedgetech.co.kr
ㆍ한국거래소(KRX) : www.krx.co.kr
ㆍ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dart.fss.or.kr
ㆍ반도체산업협회 : www.ksia.or.kr
ㆍAI 반도체 연구개발 정책 정보 : www.msit.go.kr
투자 참고 사항
주식 투자는 항상 위험을 수반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과거의 주가 흐름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