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3가지! 주식 양도 소득세·배당소득세·절세전략

주식투자를 시작했다면, 수익을 내는 것만큼 세금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괜히 몰랐다가 나중에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부자의 물결 리치웨이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투자 세금의 핵심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절세전략을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 세금
주식투자 세금

1. 양도소득세 : 주식 매매 차익에도 세금이?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차익(수익)이 생깁니다. 그런데 모든 주식 수익에 세금이 붙는 건 아닙니다.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소액 투자자)는 세금 X
단, 대주주(지분율 1% 이상 또는 10억 원 이상 보유)라면 양도소득세 부과
2025년부터 금융투자소득세가 도입될 예정 (현재 기준 5천만 원 이상 수익 발생 시 과세)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차익의 22%를 세금으로 납부 (지방소득세 포함)
기본 공제 250만 원 제공 (연 250만 원까지는 세금 X)

예) 미국 주식으로 500만 원의 차익이 났다면?
(500만 원 – 250만 원) × 22% = 55만 원의 세금 납부

2. 배당소득세: 배당금에도 세금이 붙는다!

배당을 받으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배당금을 받는다면 배당소득세를 꼭 알아야 합니다.

배당소득세율

본적으로 15.4% (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원천징수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예) 배당금 100만 원을 받으면?

100만 원 × 15.4% = 15만 4천 원이 세금으로 빠지고, 실수령액은 84만 6천 원

3. 절세전략: 세금을 줄이는 똑똑한 방법

국내 주식 위주로 투자

국내 상장주식은 대주주가 아니라면 양도소득세 X! 세금 부담 없이 투자 가능

해외 주식 양도세 절감하기

매년 25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활용
손실 난 주식을 매도해 이익과 상쇄하는 방법 (손실 상계)

배당소득세 절감

금융소득 2천만 원을 넘지 않도록 분산 투자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투자하면 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

마무리

주식 투자에서 수익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금까지 제대로 알아야 진정한 투자 고수가 될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해서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이고, 합법적인 절세 전략을 활용해야 합니다.

주식세금 #양도세 #절세방법을 숙지하고 주식 투자를 시작해보세요.

이 글은 교육 목적으로 작성 되었으며, 특정 투자 권유를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투자 도구 활용'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