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는 복잡하고 어려운 것처럼 보이지만, 기본 용어와 핵심 지표를 잘 이해하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부자의 물결 리치웨이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 입문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필수 용어와 그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 투자의 기초를 탄탄히 그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을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caption id="attachment_184" align="alignnone" width="1024"]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의 가격이 기업의 수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나타냅니다.
공식 :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의미 : PER가 낮을수록 해당 주식이 저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업종별로 평균 PER이 다를 수 있으므로 비교 기준을 잘 설명해야만 합니다.
예) A사의 주가가 5,000원이고 EPS가 5,000원이라면 PER는 10이 됩니다.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를 주당순가치(BPS)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주식이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공식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의미 : PBR이 1보다 낮으면 기업의 자산가치에 비해 주식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 B사의 주가가 20,000원이고 BPS가 25,000원이라면 PBR은 0.8이 됩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투자자들의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공식 :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의미 : ROE가 높을수록 투자 대비 수익성이 좋은 기업임을 뜻합니다.
예) C사의 순이익이 1억원 자기자본이 10억 원이라면, ROE는 10%가 됩니다.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으로 기업이 주식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공식 : EPS = 순이익 ÷ 총발행주식수
의미 :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BPS(Book Value Per Share)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로 기업의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공식 : BPS = 순자산 ÷ 총발행주식수
의미 : BPS는 기업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주식투자 지표 활용 TIP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PER, PBR, ROE 등의 지표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한가지 지표만으로 판단하지 말고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업종 평균 비교 : 같은 업종 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식 투자는 꾸준한 공부와 정보 수집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핵심 용어들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더욱 자신감 있는 투자가 가능하실 겁니다.
이 글은 교육 목적으로 작성 되었으며, 특정 투자 권유를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 책임 하에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차트 분석 기초'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금융감독원 웹사이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