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바스AI는 1999년에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에 상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지능 전문기업입니다.
26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음성인식, 음성합성, 필기인식, 영상인식 등 Human-Computer Interaction(HCI)기술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기업 초간단 분석
항목 | 내용 |
---|---|
기업명 | 셀바스AI |
종목코드 | 108860 (코스닥) |
설립일 | 2001년 8월 |
주요 사업 | AI 음성인식, 영상인식, 자연어처리 솔루션 |
핵심 제품 | 인공지능 음성인식 엔진, 음성합성 엔진, OCR 솔루션 |
시가총액 | 약 3,500억원 (2024년 10월 기준) |
셀바스AI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음성인식, 영상인식, 자연어처리 등의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한국어 음성인식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헬스케어, 자동차,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2. 주가 차트 분석

2024년 상반기까지 셀바스AI의 주가는 전반적으로 AI 산업 호황에 따라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글로벌 AI 기업들의 성장과 함께 국내 AI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혜를 받았습니다.
주요 기술 지표 분석
ㆍ이동평균선 : 단기(20일) 이동평균선이 중장기(60일, 120일) 이동평균선 위에 형성되어 상승 추세
ㆍ거래량 : 주요 사업 발표나 실적 발표 시점에 거래량 증가 패턴
ㆍRSI(상대강도지수) : 50~70 사이에서 형성되어 적정 매수 구간 유지
3. 기업 상세 분석
사업 구조
셀바스AI의 사업 부문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음성 AI 사업부
ㆍ음성인식 엔진(STT : Speech-to-Text)
ㆍ음성합성 엔진(TTS : Text-to-Speech)
ㆍ화자인식 및 감정인식 기술
비전 AI 사업부
ㆍOCR(광학문자인식) 솔루션
ㆍ영상인식 및 분석 솔루션
ㆍ얼굴인식 기술
자연어처리 AI 사업부
ㆍ챗봇 및 대화형 AI 솔루션
ㆍ텍스트 분석 엔진
ㆍ기계번역 서비스
재무 분석
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예상) |
---|---|---|---|
매출액 | 297억원 | 382억원 | 480억원 |
영업이익 | 18억원 | 42억원 | 75억원 |
당기순이익 | 21억원 | 38억원 | 68억원 |
영업이익률 | 6.1% | 11.0% | 15.6% |
ROE | 5.2% | 8.7% | 12.3% |
부채비율 | 32.4% | 28.7% | 25.1% |
※ 2024년 수치는 예상치이며, 실제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셀바스AI는 최근 3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영업이익 개선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AI 솔루션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기술력 및 경쟁력
기술력
ㆍ국내 최고 수준의 한국어 음성인식 정확도 (오류율 4% 이하)
ㆍ20년 이상 축적된 음성/영상 데이터베이스
ㆍ다양한 특허 보유 (국내외 특허 100건 이상)
사업 경쟁력
ㆍ국내 주요 기업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 관계 구축
ㆍ헬스케어, 자동차, 금융,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 레퍼런스
ㆍ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 확보
시장 내 위치
ㆍ국내 음성인식 시장 점유율 약 25% (2023년 기준)
ㆍ공공기관 AI 솔루션 공급 분야 선도 기업
ㆍ중소기업 대상 AI 솔루션 공급 선호도 상위권
4. 투자 포인트
1) AI 핵심 기술 보유 기업
셀바스AI는 음성인식, 영상인식, 자연어처리 등 AI 핵심 기술을 모두 보유한 몇 안 되는 국내 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어 음성인식 분야에서는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어, 한국어 특화 AI 시장에서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2)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성
셀바스AI의 기술은 헬스케어(의료 음성인식), 자동차(음성비서), 교육(AI 학습), 금융(본인인증)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산업 다각화는 특정 산업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 수혜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과 AI 산업 육성 기조는 셀바스AI와 같은 AI 기술 기업에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국내 AI 기업 우선 고려 정책은 셀바스AI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4) 수익성 개선 추세
최근 3년간 매출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률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입니다.
초기 R&D 투자 단계를 지나 기술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5) 글로벌 AI 시장 성장의 수혜
전 세계적으로 AI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셀바스AI도 이러한 성장세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음성인식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17%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5. 증권사 리포트 목표주가
※ 2024년 10월 기준 주요 증권사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입니다.
최신 정보는 각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하세요.
투자의견 | 목표주가 | 발표일 | |
---|---|---|---|
A증권 | 매수 | 25,000원 | 2024.08 |
B증권 | 매수 | 27,500원 | 2024.09 |
C증권 | 중립 | 22,000원 | 2024.07 |
D증권 | 매수 | 26,000원 | 2024.10 |
E증권 | 매수 | 28,000원 | 2024.08 |
대부분의 증권사는 셀바스AI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AI 시장 성장과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6. 한줄평 및 정리표
“국내 AI 시장의 강자, 기술력과 수익성의 조화를 이룬 성장주”
평가 항목 | 평점 | 비고 |
---|---|---|
성장성 | ★★★★☆ | AI 시장 성장에 따른 꾸준한 매출 증가 예상 |
수익성 | ★★★★☆ | 영업이익률 지속 개선 중 |
안정성 | ★★★☆☆ | 낮은 부채비율, 안정적인 재무구조 |
기술력 | ★★★★★ | 국내 최고 수준의 음성인식 기술 보유 |
밸류에이션 | ★★★☆☆ | 동종업계 평균 PER 대비 적정 수준 |
배당매력 | ★☆☆☆☆ | 성장 단계로 배당보다 재투자 중심 |
종합평가 | ★★★★☆ | 기술력 기반의 성장 잠재력 높음 |
투자자 유의사항
ㆍAI 산업은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르므로 기술 경쟁력 유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ㆍ대형 테크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은 잠재적 위협 요소입니다.
ㆍ실적 개선 속도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ㆍ해당 분석은 2024년 10월까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투자는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참고 사항
주식 투자는 항상 위험을 수반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과거의 주가 흐름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